Access Token 발급 Jenkins와 Github을 연동하기 위해 Github Access Token을 생성합니다. 우측 상단 초상화 클릭 Settings 선택 Developer settings 선택 Personal access tokens 선택 Generate new token 선택 이름 입력 (ex: Jenkins-Local) Select scopes – repo, admin:repo_hook 선택 Generate token
[Jenkins] Node 구성 & Private repository on Github
구성도 Local(VSCode)에서 코드를 업데이트하면, 자동으로 EC2 서버에 코드를 동기화합니다. SSH Key 생성 Jenkins 서버에서 원격 저장소인 Github, 원격 서버인 EC2와 연결 할 Key를 생성합니다. Jenkins 서버 직접 접속 (POD) $POD_NAME=kubectl get po -o json | jq ‘.items[0].metadata.name’ kubectl exec -it
[Jenkins] 작업 생성
Jenkins NodeJS 구성 Svelte Project를 위해 Jenkins에서 NodeJS를 구성합니다. Manage Jenkins 선택 Global Tool Configuration 선택 Add NodeJS 선택 Name 입력 ( ex: NodeJS 16.5.0 – 작성 기준 가장 최신 버전) Save 선택 Job 생성 이 글은 Github public repo와
[Jenkins] 설치 및 구성 (New)
안내 이어지는 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앞서[Jenkins] 설치 및 구성을 작성하였습니다. 먼저 읽고 오시면 설치 및 구성을 할 때 도움이 됩니다. 목적 Kubernetes 공유 볼륨을 활용하여 Jenkins 설치/구성 파일을 일관되게 유지합니다. Dockerfile, Shared Storage, Kubernetes Yaml 파일을 관리하여 일관된 구성을
[Jenkins] 설치 및 구성
안내 설치 과정을 자세히 안내하였습니다만 이 글은 참고만 하시고, [Jenkins] 설치 및 구성 (New) 글을 진행하길 권장합니다. 본 설치 및 구성을 따라 진행할 경우, POD 재시작 시( ex: 재부팅, Image layer 변경 등) 구성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잃을 수